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완강기 사용법과 주의사항 총정리 (+몇층에서 사용 가능할까?)

by 꿀팁톡 2024. 8. 24.
반응형

 

화재나 긴급 상황에서 우리의 생명을 지켜줄 수 있는 중요한 도구 중 하나가 완강기 인데요. 위급할 때 완강기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면 여러분과 가족의 안전을 지킬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완강기의 사용법과 몇층에서 사용해야 하는지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완강기는?

    완강기는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3층에서 10층 사이의 건물에 주로 설치되며, 특히 다중이용업소나 숙박시설 등에서는 2층에도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완강기의 사용 높이는 기본적으로 10층 이하에서 사용하도록 권장됩니다.

     

    완강기는 최대 하중 150kg까지 지탱할 수 있으며, 2명 이상 사용 시 사고의 위험이 있으니 반드시 한 명씩 교대로 사용하여야 합니다.

     

     

    완강기로 대피 전 준비사항

    먼저, 완강기의 위치를 파악해야 합니다. 보통 완강기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눈에 잘 띄는 곳에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찾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사전에 위치를 확인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 완강기를 사용할 수 있는 창문이 어디 있는지 알아둬야 합니다. 불이 나면 연기와 불꽃 때문에 시야가 제한되므로 미리 확인해두지 않으면 대피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완강기 사용법

    0. 지지대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1. 창문을 열고 지지대를 내려 설치합니다.

    ※ 지지대를 설치할 때, 지지대의 홈에 정확히 맞춰 단단히 고정해야 합니다.

    올려서 설치하는 지지대도 있습니다.

     

     

    2. 속도조절기와 후크를 연결합니다.

     

    2-1. 이때 호크에 고정 나사가 아래쪽을 향하게 연결합니다.

    출처: 소방청TV

     

     

    3-1. 후크 지지대에 연결하고 나사를 조여 고정합니다.

     

    4. 완강기를 착용 전 안전 고리를 확인하여 길이를 조절합니다.

     

    5-1. 벨트를 머리서부터 뒤집어 쓰고 안전 고리를 조여 고정합니다.

    출처: 소방청TV

     

    5-2. 벨트를 머리서부터 뒤집어 쓰고 안전 고리를 조여 고정합니다.

    출처: 소방청TV

     

    6. 로프가 감겨 있는 릴을 창밖 내려갈 곳을 향해 내려 놓습니다.

     

    7. 지지대를 창밖으로 이동시킵니다.

     

     

    7-1. 이때 지지대의 홈이 정확히 걸렸는지 확인합니다.

    출처: 소방청TV

     

    8. 두 손으로 속도 조절기 바로 밑에 로프 2개를 움켜잡고 난간에 걸터앉습니다

    출처: 소방청TV

     

    9. 난간이 높은 경우 의자나 완강기 함을 이용합니다.

    출처: 소방청TV

     

    10. 양발을 수평으로 벌리고 벽면을 마주보며 하강합니다.

    ※ 얼굴이 벽에 부딪히지 않도록 손으로 벽을 가볍게 밀며 내려옵니다.

     

     

    11. 착지 후 벨트를 고정한 안전 고리를 풀고, 벨트를 벗은 뒤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출처: 소방청TV

     

     

     

    완강기는 우리 가족의 안전을 지켜줄 수 있는 중요한 비상 탈출 도구입니다. 완강기 사용법을 한번 더 돌아보며, 이 글이 여러분의 안전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건물(아파트, 호텔 등)에서 불났을 때 대처요령(+대피가 어려운 경우)

    아파트나 호텔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대처 요령을 미리 알아두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은 아파트나 호텔 건물에서 화재 시 대피요령, 대피가 어려운 경우 대처방법 등을 알아보

    life.infotips.co.kr

     

    반응형